영산기맥(完走)

영산기맥이란?

산과 숲 2016. 11. 1. 14:15

백두 대간이 덕유산을 넘어 지리산을 목전에 두고,  백운산 앞의 영취산에서 금남호남정맥을 분기하여,
장안산.팔공산.성수산.마이산을 지나 모래재 위 조약봉에서 (주줄산.주화산) 한줄기는 북으로 금남정맥을

분기하고, 한줄기는 서남진하는 호남정맥으로  만덕산.내장산,추월산.무등산.조계산.백운산.망덕산에서
그 맥을 다하는 섬진강의 서쪽 울타리가된다.

 

영산기맥은 호남정맥의 내장산 신선봉과 까치봉 갈림길을 지나 순창 새재(530m)에서 서쪽으로
영산강과 동진강을 사이에 두고 새재봉(530m)에서 영산기맥이 시작되며, 여기서 분기한 영산기맥은
입암산(655m),방장산(742.8m),문수산(620.5m),구황산(480m),고산(520m),고성산(546.3m)

월랑산(440m),태청산(93.3m),장암산(481.5m),불갑산(515.9m),모악산(347.8m),군유산(403.2m)

발봉산(180.8m),감방산(257.0m),병산(130.7m),남산(189.0m),마협봉(290.0m),승달산(317.7m)

국사봉(283.0m),지적산(183.0m),대박산(155.6m),양을산(151.0m)
전남 목포시 유달산(228m)을 지나 여맥을 다하고 남해바다 온금동 다순금 앞바다에 그 꼬리를 내린다.


도상거리 약 159.5km의 산줄기로서 우리나라 산의 족보라 할 수 있는 산경표에는 이 산줄기에 대한

명칭이 없고, 또한 영산기맥은 공식명칭이 아니며 『태백산맥은 없다』의 저자 조석필씨가 명칭이 없는

산줄기 중 호남정맥에서 분기되어 목포 유달산에 이르는 이 산줄기를 '영산기맥'이라 임으로 정한 것이
현재 전국의 산악인들에게 알려져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.
영산강의 북쪽울타리를 이루므로 영산북기맥이라 부르기도 하지만, 통상 영산기맥하면

이 영산북기맥을 말한다.


영산기맥을 지나가는 산

입암산(×651), 시루봉(649), 방장산(×734), 방문산(벽오봉×640), 갈미봉(579), 문수산(△621.6)

두루봉(△441.5), 구황산(×500.0), 고산(×528), 고성산(△546.7), 월랑산(×458), 태청산(△593.3)

장암산(△484), 분성산(318), 칠봉산(268), 가재봉(281), 불갑산 연실봉(△518.2), 모악산(△352.3)

 금산(△305.4), 군유산(△405.5), 발봉산(△180.8), 영태산(△135.2), 중봉(×135), 곤봉산(192.2)

제비산(×153), 감방산(△258.9), 병산(△130.7), 남산(189), 연징산(△300.5), 마협봉(×288)

 승달산(△318.9), 국사봉(283), 대봉산(252), 지적산(×187), 대박산(155.4), 양을산(×156)

유달산(×228), 노적봉(×80)

 

구간별 도상거리(1:50,000 기초)
남창골-(2.4)-장성새재-(1.65)-순창새재-(0.15)]-영산기맥 분기봉-(2.45)-장성새재-(1.35)입암산-(1.1)-갓바위-(0.4)-은선골 갈림길-(1.6)-시루봉,649m-(1.1)-노령-(1.1)-장성갈재,1번 국도-(1.6)-734m-(2.2)-방장산,742.8m-(0.9)-고창고개-(1.1)-방문산 벽오봉,640.4m-(1)-갈미봉,579m-(1)-양고살재,15번 국지도-(2.4)-원골재 갈림길-(0.7)-솔재,898 지방도로-(0.8)-399.8-(1.9)-검곡치-(1.9)-해넘골 임도-(2.1)-565-(1.1)-문수산-(1.7)-서우치-(0.7)-두루봉-(2)-살우치,임도-(0.5)-소두랑봉-(0.9)-513.4(1.4)-구황산-(1.3)-불개미재-(1)-범넝굴봉-(0.5)-암치치,893 지방도-(1.25)-고산-(1.2)-가미치-(1.6)-고성산-(1.4)-깃재,816 지방도-(0.65)-마치-(0.7)-조리재-(0.6)-월랑산-(1.9)-몰치재-(0.5)-537.1m-(1.3)-태청산-(1)-마치-(0.65)-작은마치재-(1)-장암산-(1.1)-덤바위재,2차선 도로-(0.4)-분성산-(1.7)-연정재-(0.3)-273.2m-(0.3)-칠봉산-(0.9)-뱃재-(0.8)-가재봉-(0.6)-흰바위재-(1.55)-밀재/선치-(2)-장군봉-(0.7)-불갑산 연실봉-(1.25)-구수재-(0.6)-모악산,352.8m--(0.6)-한우재-(0.7)-노은재-(2.8)-화산골재-(2)-지경재,23 지방도-(0.5)-서해안고속도로-(0.6)-구봉고개-(2.15)-상광암고개,17번 군도-(1.2)-금산-(1.6)-칡재-(0.8)-사간재-(1.3)-군유산-(0.8)-복성리재-(1.2)-가는고개-(1)-노승산 갈림길-(0.75)-건김재,838 지방도-(1.1)-수철리고개-(0.6)-옷밭골재-(0.8)-감적고개-(1.7)-발봉산-(0.45)-장동고개-(0.7)-서해안고속도로/ 함평터널-(1.25)-23번 국도-(0.4)-129.2-(0.7)-용성고개-(1.3)-3번 군도-(0.25)-23번 국도-(1.6)-천지주유소,23번 국도-(2.1)-함평IC 2교 굴다리-(1.3)-영태산-(1.3)-중봉-(1.4)-2차선 포장도로-(1.3)-815 지방도-(1.3)-곤봉산-(0.7)-제비산-(1.3)-작동마을/811 지방도로-(3.1)-감방산-(1.8)-선바위재-(0.7)-도산제3거리/24번 국도-(0.6)-무안-광부고속도로/매곡육교-(1.6)-4차선,60번 지방도-(1)-병산-(1.1)-1번 국도-(0.3)-초당대-(1.7)-168.0m-(1.6)-연징산 갈림길-(0.8)-시루봉 분기점-(1.9)-한재-(2.8)-264.6-(0.25)-각어릿대재-(0.5)구리재-(0.5)-구리봉-(1)-사자바위산-(0.75)-하루재-(0.9)-승달산-(3.5)-815 도로-(2.6)-국사봉-(0.9)-대봉산-(2.6)-서해안고속도로-(2)-지적산-(1.7)-1번 국도-(0.8)-대박산-(2.2)-양을산-(4.5)-유달산-(0.8)-아리랑고개-(1.2)-다순금